• 사업분야안전한 세상, 행복한 우리
  • visual
  • visual
  • visual
안전보건컨설팅/인증
공공기관 안전평가 및 컨설팅
관련법규
  •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 제1항 4호 (정부의 책무)
    시행령 제4조 제2호 – 사업의 안전관리 및 보건관리 수준의 향상
  •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 (기획재정부 고시 2019.3.28)
  • 공공기관의 안전활동 수준평가에 관한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9-47호)
평가대상
  •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19년 기준 128개소)
  • 공공기관 – 공공기관이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 및 제6조에 따라 지정된 기관
공공기관 안전활동 평가 프로세스(전문기관)

세부 평가
계획 수립

공단→노동부
(기재부)

평가 계획
공지

노동부(공단)→
평가대상기관

설명회
개최(2회)

노동부(공단)→
평가대상기관

수준평가
실시

노동부(공단)→
평가기관

실무평가
위원회 개최

공단

잠정결과 공지
이의신청 안내

공단→평가대상
기관

평가 심의
위원회 개최

노동부

평가 결과
통보

노동부→
대상기관

평가결과
송부

노동부→
기재부

정부 강평
참고 자료

기재부

수준평가 & 컨설팅 프로세스

안전활동 수준평가 문의

전화 또는 이메일

평가&컨설팅 안내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수행방안 협의 (방문)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입찰 또는 견적 진행

공공기관 (준정부기관)

평가&컨설팅 계약

상호 계약

수행 일정 수립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평가 및 컨설팅 수행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평가&컨설팅 결과 보고서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평가결과 설명회

한국안전보건 평가원

수준평가& 컨설팅

완료

[평가결과 및 분석]

  •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결과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 (점수)
  • 평가결과에 대한 분석 → 우수한점과 취약한 사항에 대한 분석
  • 각 평가 항목에 대한 보완사항 정리 (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컨설팅 주요내용]

  • 1. 안전활동 수준향상을 위한 개선 지원(등급 상향)
  • 2. 평가항목 중 취약사항에 대한 개선대책 수립
  • 3. 안전보건 표준화 및 작업환경 개선 컨설팅
  • 4. 위험성평가 교육 및 관리감독자 교육 실시
  • 5. 위험성평가
  • 6. ISO45001인증/KOSHA-MS 인증 (협의)
  • 7. 공공기관 요청에 의한 안전보건 개선사항 수행
  • 8. 컨설팅 완료 시 안전활동 수준 재평가
평가 대상 ('19년 기준)
유형 공공기관명
공기업 (36개) 공기업Ⅰ (10개)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기업Ⅱ (26개) 강원랜드(주), 그랜드코리아레저(주), 대한석탄공사, 부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식회사 에스알,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감정원,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남동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마사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수력원자력(주),한국전력기술(주), 한국조폐공사, 한국중부발전(주), 한전KDN(주), 한전KPS(주), 해양환경공단
준정부기관 (92개) 기금관리형 (13개) 공무원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국민체육진흥공단, 근로복지공단, 기술보증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위탁집행형 (36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도로교통공단, 사회보장정보원, 선박안전기술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우체국물류지원단,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관광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소비자원,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학재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환경공단
강소형 (43개) 국립생태원, 국제방송교류재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독립기념관, 시청자미디어재단, 아시아문화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우체국금융개발원, 재단법인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재정정보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지표
분야 분야별
배 점
평가 항목 항목별 배점(안)
(1) (2) (3) (4)
Ⓐ 안전보건체제 (System)
4개 항목
250 ① 최고경영자의 안전보건경영방침 수립 및 활동 수준 100 100 100 100
② 안전보건경영체제 구축 수준 50 50 50 50
③ [안전관리 중점기관] 안전보건경영 조직 활동 수준 50 50 50 50
④ 안전보건경영 투자 수준 50 50 50 50
Ⓑ 안전보건활동 계획
2개 항목
100 ① 안전관리규정 작성 50 50 50 50
② 안전기본계획 수립 50 50 50 50
Ⓒ 안전보건활동 수준
[4개영역]
(Activity Level)
26개 항목
500 Ⓒ-1 【공통 안전보건관리】 200 200 200 300
① 일반 작업안전 관리 15 15 15 25
② 노동자 건강 유지·증진 활동 수준 10 10 10 15
③ 사업장 시설 점검기준 수립 및 이행 10 10 10 15
④ 위험성평가 30 30 30 45
⑤ 안전보건교육 20 20 20 30
⑥ 노동자 안전보건활동 참여수준 30 30 30 45
⑦ 위험작업 안전관리(안전작업허가제도) 15 15 15 20
⑧ 재해조사 및 재발방지 20 20 20 30
⑨ 비상시 대비 및 대응 10 10 10 15
⑩ 대국민 이용시설 안전관리 체계 20 20 20 30
⑪ 안전문화 확산 노력도 20 20 20 30
Ⓒ-2 【발주 안전보건관리】 100 150
① 발주 계획 단계의 안전보건 확보(50억 원 이상 공사) 20 30
② 발주자의 안전보건조치 준수(50억 원 이상 공사) 20 30
③ 시공자 선정 시 안전보건관리 역량 평가 20 30
④ 공사 안전보건감독 계획 및 수행 20 30
⑤ 건설현장 안전보건 환경 조성 20 30
Ⓒ-3 【수급업체 안전보건관리】 100 150
① 도급절차 및 수급업체 안전보건관리 계획 수립 40 60
② 수급업체 작업장 산업재해 예방조치 실행 수준 30 45
③ 안전보건 교육 등 인프라 지원 30 45
Ⓒ-4 【현장 안전보건관리】 100 150 150 200
① 일반 현장 안전보건관리 20 30 30 40
② 기계·기구·설비에 의한 위험방지 조치 10 15 15 20
③ 전기기계·기구로 인한 위험방지 10 15 15 20
④ 추락․낙하․붕괴 등 시설물 위험방지 조치 20 30 30 40
⑤ 화학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및 누출 위험방지 조치 10 15 15 20
⑥ 화학물질 중독 및 질식사고 예방 활동 수준 20 30 30 40
⑦ 작업환경 관리 수준 10 15 15 20
Ⓓ 안전보건활동 성과
2개 항목
150 ① 성과측정 및 시정조치 80 80 80 80
② 산업재해 감축 노력도 70 70 70 70
합 계 1,000 1,000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111 JNK디지털타워 804호    대표 : 오 병 섭    사업자등록번호 : 314 – 81 - 68024
  • 대전광역시 유성구 북유성대로 219 201호, 202호 (인앤인주상복합)
  • TEL : 042-825-0804    FAX : 042-825-0832    E-Mail : obsok@naver.com
  • COPYRIGHTⓒ 한국안전보건평가원.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이동하기